문헌정보학 / 평교원(평생교육원)과 시간제등록 차이

2021. 8. 18. 18:28학점은행제 문헌정보학

반응형

평교원과 시간제의 차이.

 

평교원은 대학이나 기타 교육훈련기관에서 개설한 학습과정입니다.

 

한마디로 학원을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무슨 대학 평생교육원이라고 하더라도 대학과 상관없고 대학에서 만든 학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릅니다.

 

정보처리를 수강하는 메가존아이티평생교육원이나 KG아이티뱅크평생교육원은 온라인 학원이라 생각하심 되죠.

 

학원에서 수강생을 모집해서 수업 진행하고 성적 주고 끝.

 

하지만 대학 학점 인정을 받기 때문에 국평원에서 엄격하게(아마도?) 관리하고 있습니다.

 

국평원에서 운영하는 과정에 대해 평가해서 허가, 취소 하기도 하고 출석이나 성적 관련 자료들을 모두 제출해서 감사하기도 합니다.

vhttps://www.cb.or.kr/creditbank/eduIntro/nEduIntro2_1.do

 

국평원에서 관리하다보니 평교원은 표준교육과정에 있는 과목만 전공 관련 학점으로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시간제 등록은 대학의 학생들과 같이 수업을 듣는 것입니다.

 

학부생으로 등록해서 그 학생의 풀타임학생으로 수업을 다 듣느냐 몇과목만 등록해서 몇학점만 따냐 그 차이예요.

 

그래서 시간제 등록생은 그 학교의 학생은 아닙니다. 

 

학교에서 (돈 받고) 수업 듣도록 허락 해준 사람일 뿐.

 

대학은 교육부나 어디서 정한 커리큘럼이 따로 있는게 아니잖아요.

 

같은 문헌정보학과라 해도 서지기록학, 정보학, 도서관학 어디에 중점을 두냐에 따라서도 학부 커리큘럼이 다른데.

 

그러다보니 대학 수업을 듣고 국평원에 학점인정을 신청하면 국평원 심의를 해서 결정한다는 겁니다.

 

https://www.cb.or.kr/creditbank/eduIntro/nEduIntro2_3.do

 

 

1. 시간제 등록한 학교와 학과가 본인의 학은제 학습구분상 동일한 학위과정(전문학사냐 학사냐)와 전공이라면, 그 학교에서 정한 학습구분(교양, 전필, 전선, 일선 등) 그대로 인정해줍니다. 

 

2. 분류가 분명하지 않으면, 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걸쳐 인정. 기존에 한번 결정된 구분은 당분간은 유효하겠죠? 

 

예를 들어 조사방법론의 경우, 저 분과위원회에서 문헌정보학 전선으로 인정해주자가 결정을 하고 그 뒤로 학점인정 신청한 사람들에게 다 전선으로 학점을 부여하고 있는거죠.

 

 

 

그래서 사이버대학 시간제등록으로 전선, 전필 과목을 수강할 수가 있는겁니다.

 

 

반응형